목향공진단(木香拱辰丹)■ 목향공진단 이란? 공진단은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의 허손편(虛損編)에서 최초로 언급된 처방으로, “가지고 태어난 기운을 단단하고 조밀하게 하며, 기운의 순환을 순조롭게 하여, 오장육부를 조화롭게 한다”라고 하였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공진단을 간 허약(肝虛藥)으로 분류하여 “간이 허손한 것을 치료하는 약으로, 얼굴에 혈색이 없고, 근육이 늘어지고, 눈이 어두울 때 사용한다”라고 하였다. 또한 《방약합편(方藥合編)》에서는 공진단이 녹용, 당귀, 산수유, 사향을 기본 약물로 하여 증세에 따라 인삼(人蔘), 숙지황(熟地黃), 육계(肉桂), 부자(附子), 귤피(橘皮), 패모(貝母), 오미자(五味子), 침향(沈香), 목향(木香) 등의 약물을 가감하여 활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공진단의 원료 중 중요한 것이 사향입니다. 최근에 사향의 공급이 불안정한 관계로, 정작 필요한 공진단 처방을 받지 못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최근에는 사향대신 목향(木香)으로 대신하여 공진단을 만들어서 합리적인 가격으로 보다 쉽게 환자분들이 드실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저희 목향 공진단 “은 단순히 사향 공진단 대신 목향을 대체해서 조제한 공진단이 아닙니다. 공진단의 약재 효능, 제조 방법, 체험례의 다양한 연구결과를 세미나를 통해 목향공진단의 임상 경험을 축적, 발전시켜서 완성해가고 있습니다. 약재 선별 과정을 서로 공유하면서 보다 좋은 약재의 산지, 품종 등의 검증을 통해 공통적으로 인정하는 약재만을 사용하도록 약속되어 있습니다. 목향공진단의 정량에 있어서도 함량이 미달되지 않도록 기계식이 아닌 직접 정량을 하여 조제하고 있습니다.
■ 목향공진단의 효능
공진단은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의 허손편(虛損編)에서 최초로 언급된 처방으로, “가지고 태어난 기운을 단단하고 조밀하게 하며, 기운의 순환을 순조롭게 하여, 오장육부를 조화롭게 한다”라고 하였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공진단을 간 허약(肝虛藥)으로 분류하여 “간이 허손한 것을 치료하는 약으로, 얼굴에 혈색이 없고, 근육이 늘어지고, 눈이 어두울 때 사용한다”라고 하였다. 또한 《방약합편(方藥合編)》에서는 공진단이 녹용, 당귀, 산수유, 사향을 기본 약물로 하여 증세에 따라 인삼(人蔘), 숙지황(熟地黃), 육계(肉桂), 부자(附子), 귤피(橘皮), 패모(貝母), 오미자(五味子), 침향(沈香), 목향(木香) 등의 약물을 가감하여 활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공진단은 머리를 맑게 하고, 중풍(中風) 및 치매를 예방하고 치료하고, 피로하거나 과도한 음주로 간에 피로가 있을 때 등에 매우 효과가 좋습니다.
또한, 먼 여행길에 아침에 예방차원에서 드시거나, 과도한 음주 전후, 수험생의 총명환의 대체품 등으로도 이용이 되고 있습니다. 문헌적으로는 “선천적으로 허약한 체질을 타고난 사람이라도 공진단을 복용하면 하늘이 내린 선천적인 생명기운을 굳게 하여, 신수(腎水)를 오르게 하고 심화(心火)를 내리게 하여 百病이 생기지 않는다” 고 동의보감에도 나와 있습니다. 공진단은 중국 원나라때 명의로 유명했던 위역림의 가문에서 5대에 걸쳐 전해 내려온 보약 처방으로 특히 간 기능 개선에 뛰어난 효능이 있고 인체의 장기를 튼튼하게 해주는 최고의 보약이라고 합니다.
■ 목향공진단에 들어가는 약재–
목향 : 국산 친환경 목향만을 씁니다.- 녹용 : 러시아산 상대를 사용하며, 약효성분이 떨어지는 둘레의 각성분을 제거하여, 녹용의 순수성을 높였습니다. 녹용은 러시아산 녹용이 가장 좋습니다.- 당귀 : 당귀의 주변 껍질 부분을 제거하여 약효성분을 높이고, 부드럽게 복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산수유 : 국산 친환경 최고급 산수유만을 사용합니다. ■ 목향공진단이 필요한 분들…– 키는 쑥쑥! 몸은 튼튼! 성장기 어린이- 체력 및 정신력 소모가 심한 직장인- 과로와 스트레스로 심신이 지친 학생- 부인병 및 갱년기증상 온화가 필요한 여성- 허약체질 및 질병을 에방하려는 경우- 노화를 예방하고 기력강화가 필요한 어르신
■ 복용 방법 : 하루 1환, 아침 공복에 드시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 피곤하거나 체력이 회복이 안될 때 : 20일간 하루 1환- 장기 여행을 가실 때 : 여행 중 매일 하루 1환- 음주전 : 1환- 수험생 : 큰 시험을 앞두고 10~20일간 하루 1환- 골프 라운딩 : 라운딩 전 1환

경옥고(瓊玉膏)
■ 경옥고란?

塡精補髓, 調眞養性, 返老還童, 補百損, 除百病, 萬神俱足, 五臟盈溢, 髮白復黑, 齒落更生, 行如奔馬. 日進數服, 終日不飢渴, 功效不可盡述. 一料分五劑, 可救癱瘓. 五人. 一料分十劑, 可救勞瘵 .十人. 若二十七歲服起, 壽可至三百六十. 若六十四歲服起, 壽可至五百年. 경옥고는 정(精)을 채워주고 수(髓)를 보하며 진기를 고르게 하고 양성(養性)하며 노인을 다시 젊어지게 한다. 모든 손상된 것을 보하고 여러 병을 없애어 신(神)이 충족하게 되며 오장(五臟)의 기가 차서 넘치고 흰머리가 검어지며 빠진 이가 다시 생기고 걸어다니는 것이 말이 달리는 것과 같아진다. 하루에 여러 번 먹으면 종일 배고프거나 갈증이 없는 등 그 효과를 이루 다 말할 수 없다. 이 약을 다섯 제로 나누면 반신불수 환자 다섯 사람을 구할 수 있고, 이 약을 열 제로 나누면 노채(勞瘵) 환자 열 사람을 구할 수 있다. 만약 27세부터 먹기 시작하면 수명이 360세에 이를 수 있고, 만약 64세에 먹기 시작하면 수명이 500세에 이를 수 있다.
인삼(人蔘), 생지황(生地黃), 백복령(白茯苓), 백밀(白蜜)로 만든 한약 처방이다. 경옥고(瓊玉膏)는 중국 남송(南宋) 시대에 홍준(洪遵, 1120~1174)이라는 의학자의 저서 《홍씨집험방(洪氏集驗方)》에 최초로 기록되어 있다. 《홍씨집험방》에서는 경옥고를 ‘신철옹방(申鐵甕方)’이라고 기록하고 있다.또 금말원초(金末元初)에 왕호고(王好古)가 애종(哀宗) 정대(正大) 8년(1231년)과 정유년(1237년) 봄 사이에 저술한 《의루원융(醫壘元戎)》이라는 책에도 수록되어 있다. 이 책에는 양생 방면에 쓰일 한방제로서 경옥고를 ‘철옹선생방(鐵翁先生方)’이라고 기록해놓았다. 금원(金元) 시대의 유명한 의사 4명을 지칭하는 금원사대가 중 한 명인 단계 주진형(朱震亨, 1281~1358)의 저서 《단계심법(丹溪心法)》에도 ‘철옹선생방’이 언급되어 있으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유명 의학자들은 경옥고에 대해 언급해왔다.
이들은 모두 경옥고에 대해 폐음(肺陰, 폐의 음액)을 보하면서 비위(脾胃)를 다스리는 약이라 하였다. ‘경옥고’라는 이름은 곽기(郭機)가 “기오침제(起吾沈瘵), 진새경요(珍賽瓊瑤), 고유경옥지명(故有瓊玉之名)”이라는 기록으로 보아 곽기가 중병에 걸렸을 때 자기 자신을 구해준 약이므로 ‘진귀한 옥’과 같다 하여 이를 칭송하는 마음으로 이 약을 ‘경옥고’라 이름붙인 것에서 유래하였다.
■ 경옥고의 효능
경옥고는 폐신음허(肺腎陰虧, 폐와 신장의 음이 없어진 것)로 인하여 화왕작폐(火旺灼肺, 화가 폐를 침범한 것)하여 생긴 건해인조(乾咳咽燥, 마른기침이 나오고 인후가 건조한 것), 기단핍력(氣短乏力, 기가 허약하여 체력이 부족한 것), 맥상이 세삭(細數, 맥이 가늘고 빠른 것)한 증후에 사용한다. 자신윤폐(滋腎潤肺, 신장을 충만히 하고 폐의 음분을 보충하는 것), 건비익기(健脾益氣, 비를 이롭게 하여 기를 돋우는 것)의 법으로 처방을 조성한다. 본방에는 세 가지 특징이 있다.첫 번째 특징은 보폐(補肺, 폐를 보충하는 것)하고 또 보신(補腎, 신장을 보충하는 것)하여 금수상생(金水相生, 폐의 기운인 금과 신장의 기운인 수를 서로 돕게 하는 것) 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보폐하면서도 건비(健脾, 비위를 건강하게 하는 것)를 잊지 않아 배토생금(培土生金, 비위의 기운인 토를 배양하여 금의 기운이 살아나게 하는 것) 한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전체 약성이 감윤(甘潤, 그 성질이 달고 촉촉함) 하며 불온불조(不溫不燥, 덥지도 건조하지도 않음) 하므로 장기간 상복하기에 알맞은 까닭에 치폐(治肺, 폐를 다스림)하는 데 마땅하다는 특징이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경옥고에 대해 “정(精)을 채워 주고 수(髓)를 보하며 진기를 고르게 하고 양성(養性)하며 노인을 다시 젊어지게 한다. 모든 손상된 것을 보하고 여러 병을 없애어 신(神)이 충족하게 되며 오장(五臟)의 기가 차서 넘치고 흰머리가 검어지며 빠진 이가 다시 생기고 걸을 때 말이 달리는 것과 같아진다. 하루에 여러 번 먹으면 종일 배고프거나 갈증이 없는 등 그 효과를 이루 다 말할 수 없다”라고 소개하고 있다.즉, 정기를 채우고 수액과 원기를 보충하여 몸의 모자란 부분을 채워 줍니다.
■ 경옥고에 들어가는 약재–
인삼 : 원기와 비장과 폐장을 보하며 진액을 생성 갈증을 멈추고 정신편안과 지능증진- 생지황 : 혈를 보양, 정수를 보하며 간장과 신장을 보익하는 약재로 간,신혈을 보강- 복령 : 면역력을 증진시키고 항암, 항균작용을 하며 혈당을 저하하는 효능- 백밑 : 소화기능을 돕고 인체의 독소를 풀어주고 배출하는 효능
■ 경옥고가 필요한 사람은…–
혈액순환저하로 인한 몸이 무겁고 나른하며 잘 붓는 갱년기- 만성피로를 달고 사는 현대인, 정신력 소모나 체력저하가 많은 분- 면역력 강화의 필요성을 느끼는 분, 호홉기저하로 고생하시는 분- 노화로 인한 각종 퇴행성 질환(해수,천식)과 치매를 예방하고 싶은 분- 집중력과 지구력의 강화가 필요한 수험생 ■ 복용 방법 : 하루 1환, 아침 공복에 드시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